동계스포츠의 기원

Bikekim 아바타
동계스포츠의 기원

동계스포츠의 기원

동계스포츠의 기원에 대해 역사자료를 보고 판단하자면, 우리가 서둘러 ‘스키‘라고 부르려고 하는 이 운동은 인간의 생존만큼이나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신속하게 이동하고, 사냥을 하고, 짐승이나 종족을 뒤쫓거나 따라가는 데에 용이한 썰매는 개인에게 생존의 필수 수단이었다.

네덜란드의 화가인 대(大) 피터르 브뤼헐(Pieter Brueghel ‘Ancien)은 이러한 상황을 <눈밭의 사냥꾼들>(빈, 예술사박물관 소장)이라는 이름이 붙은 그림 속에 잘 표현했다. 그림 전면에 스키를 들고 사냥에서 돌아오는 남자들이 보인다.

눈밭의 사냥꾼들

 

그런데 ‘동계스포츠’라는 용어는 그리 오래 된 것이 아니다. 역사가들에 따르면, 이 용어는 1860년대부터 나오게 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제로 인간의 출현과 동시에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이 운동의 기원을 보다 정확하게 되짚어 보자.

역사연구를 위한 발굴을 통해 연구자들은 스키를 타는 활동이 나타난 시기를 대략적으로 알게 되었다. 스키의 역사에 있어 가장 주목할 만한 점들에 관해서 언급하고자 한다.

 

스키 태동의 역사

선사시대부터 암벽에 새겨진 그림들은 스키를 착용한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백해 해변에 있는 러시아의 찰라브루즈에서 발견된 유명한 벽화를 상기하자. 기원전 10,000년에서 12,000년 무렵에 그려진 이 벽화에는 스키를 탄 남자들이 장대에 의지해서 이동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금까지 발견된 것 가운데 가장 오래 된 스키는 노르웨이의 이탄층에서 나온 것으로 기원전 2500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기원전 1050년 전부터 유래하는 스웨덴의 발링스타 암반에 새겨진 룬문자로 된 유적을 해독한 결과, 스키와 활 그리고 화살을 갖춘 사냥꾼 차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언어학자들은 스키 타기의 특징을 드러내는 낱말들이 등장하는 데에 특별히 관심을 기울였다. 그 결과 학자들은 이미 10,000년 전에 유목 종족들이 이리저리 이주를 다닐 때에 이 용어를 사용했다는 것을 알아냈다. 기원전 456년, 헤로도토스는 광대한 설원에서 어떤 사람들은 이동을 쉽게 하기 위해 “황금 화살촉”을 타고 미끄러져 다닌다고 설명했다. 서기 552년, 역사가 프로코피우스는 스칸디나비아 여행을 마친 다음 스키를 타고 이동하는 사람들을 묘사하면서 이들을 “스크리드핀내(Skridfinnae)” 즉 “스키를 타는 핀란드사람”이라고 불렀다.

스키를 타면서 몸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커다란 막대를 함께 사용하는 행태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9세기부터다. 이제 다른 형태의 스키가 존재하게 된 것이다. 종종 같은 길이의 짝을 이루는 것이긴 하지만, 오늘날 크로스컨트리 스키어들이 타는 것과 닮은 폭넓은 것이었다. 물개와 같은 동물의 가죽을 둘러씌우면 오르막에서 스키가 물러나지 않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 보다 전문화된 또 다른 형태로 3m 길이의 날로 된 것은 미끄러짐 즉 활강에 사용되고, 보다 작은 것으로 ‘안도르’라고 부르는 것은 가속이 뛰어난 것이며, 마찬가지로 가죽을 씌운 것은 오르막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해준다.

수많은 이야기와 전설이 전해오는데, 특히 스칸디나비아는 이런 이야기와 전설을 좋아하며, 이들은 “미끄럼질의 과거를 잘 말해준다. 핀란드 무훈시의 여주인공인 렘민카이넨(Lemminkainen)과 아이슬란드 스키의 여신 스카디(Skadi) 같은 인물들이 스칸디나비아 스키 이야기를 구성한다. 1555년에 그려진 어느 데생에는 스카디 여신이 바다의 신 요르드(Njord), 눈의 신 울르(Ullr)와 함께 그려져 있다.

이동과 사냥을 위한 도구인 스키는 차츰 군용 장비가 되어간다. 12세기부터 스칸디나비아와 러시아 군대는 스키를 갖추었다. 실제로 군인들은 스키의 중요성과 유용성을 아주 빨리 알아차렸다. 1822년에 제작된 A C. 브루크(A C. Brooke)의 크로키는 훈련 중인 노르웨이 군을 그리고 있다. 군대는 여러 개의 행렬을 지어 이동하고 있는데, 군인 개개인은 앞쪽이 넓고 뒤쪽은 홀쭉한 스키를 한 벌씩 착용하고 추진을 위한 막대하나를 든 상태에서 남은 손으로는 전투무기를 들고 있다.

스키 태동의 역사, 눈덮인 설원에서 스키타는 모습

이 주제와 관련하여, 노르웨이는 1219년에 일어난 사건 하나를 기념하고 있다. 당시 이 나라는 각각 비르키베이나르(Birkebeiner)와 비글라르(Bagler)라는 두 진영이 대립하는 극심한 내전에 휘말린 상태였다. 바글라르 진영에서 당시 하콘 왕의 두살배기 아들을 납치하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푀스텐(Foersten)과 스케르바(Skerva)라는 두 명의 재능 있는 스키어 덕분에 왕자를 구할 수 있었다. 이 역사적인 ‘모험’에 1522년 스웨덴에서 벌어진 또 다른 모험이 따라 다닌다. 유명한 바잘로페트(Vasaloppett)라는 이름의 기원이다.

당시 스웨덴은 덴마크의 침략으로 점령당한 상태였지만, 구스타브 바자(Gustave Vasa)라는 사람이 구세주로 등장했다. 그는 침략자들에 저항하면서 달라르나(Dalama) 사람들을 자신에게 합세하도록 설득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 일이 실패하는 바람에 그는 노르웨이로 가기 위해 모라에서 탈출해야만 했다. 그런데 달라르나 주민들은 지도자가 없으면 그들의 자유가 위험해진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모라에서 가장 뛰어난 스키어 두 명을 보내 바지를 찾아 데려오기로 결정했다. 마침내 그들은 90km 떨어진 살렌(Salen)에서 그를 따라잡을 수 있었다. 다시 고향으로 돌아온 바자는 주민들이 단합하도록 설득하는 데에 성공해서 적을 물리치게 되었다. 그의 저항은 성공하게 되었고, 1523년 스웨덴 사람들은 그에 대한 감사의 표시로 바자를 구스타브 1세 바자라는 이름의 스웨덴 국왕으로 추대했다.

노르웨이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스웨덴 사람들도 1920년부터 바잘로페트라는 이름의 스키대회를 벌여 이 역사적인 사건을 기념하고 있다. 이 스키대회는 바자가 탈출을 시도했던 살렌과 모라 사이의 바로 그 장소에서 벌어진다. 해마다 수천 명의 애호가들이 이 경기에 참가한다. 이 경기는 프랑스의 프랑슈콩테에 있는 르두브에서 벌어지는 쥐라산맥 횡단경기와 마찬가지로 장거리스키 월드컵의 한 단계에 속한다.

이제는 프란체스코 네그리(Francesco Negri)와 요한 셰퍼(Johan Scheffer)라는 두 명 여행전문가의 흥미로운 증언을 들어보자. 프란체스코 네그리는 북구 사람들이 1670년대에 스키를 어떻게 사용했는지에 관해 매우 정확한 설명을 해준다. 요한 셰퍼는 <라피의 역사>라는 책을 통해 핀란드의 라피지방 사람들이 이동을 위해 스키를 사용한 방법을 매우 자세하게 이야기한다. 그림이 가미된 이 책은 가죽끈으로 동여맨발에 커다란 스키를 신은 라피의 사냥꾼이 한 손으로 사냥총을 잡은 채 큰 막대를 이용해 앞으로 나아가는 모습과 함께 사슴이 끄는 썰매를 반쯤 누운 자세로 몰고 가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다. 네덜란드 화가 헨드릭 아베르캄프(Hendrick Avercamp, 1585-1634)는 사람들이 빙판에서 스케이트를 타고 막대기를 이용해 공을 밀며 노는 겨울풍경을 작품 속에 묘사했다. 여기 보이는 것이 바로 하키의 원조인 ‘밴디(bandy)’라는 경기다.

현대인들에게 스포츠는 단순한 경기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치열한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위해 오로지 일에만 집중해야 하는 현대인들에게 프로야구, NBA중계, MLB중계 시청의 시간은 그야말로 힐링의 시간이며, 재충전의 시간이 아닐 수 없습니다. 복잡한 경기장을 찾는 것 보다는 침대나 쇼파에 누워서 자신이 보고 싶었던 스포츠 중계를 본다는 것은 최고의 휴식인 것입니다. 스포츠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인 손오공 티비가 요즘 많은 스포츠 마니아들로부터 호평을 얻고 있습니다. 물론 모든 중계시청이 무료이며 스포츠 전문가들의 경기 예측결과도 공유할 수 있어서 스포츠 베팅을 즐기는 마니아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